명사처럼 동사에도 끝에 -s -es 등이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1. 주어가 복수[ex) girls]가 아니라 단수[ex) girl]일 때
2. 주어가 나(= I , 1 인칭 ), 너(= You, 2 인칭) 가 아닌 다른 것 (= He, She, It 등, 3 인칭) 일 때
동사 끝에 -s -es 등이 붙습니다.
즉,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동사 끝에 -s -es 등이 붙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teacher go ...
teacher(주어) + go(동사) + ...
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주어는
1. 복수형(teachers)이 아닌 단수형(teacher)입니다.
2. 문장에서 teacher는 나(1 인칭)도 아니고 너(2 인칭)도 아닌 선생님(3 인칭입니다.)
선생님은 여성이라면 she(3 인칭), 남성이라면 he(3 인칭)으로 치환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어인 teacher는 3 인칭 단수입니다.
그러므로!!
go는 뒤에 -s 나 -es 등이 붙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teacher goes ...
가 맞는 문장이 됩니다.
.
그러면 언제 -s 를 붙이고 -es 를 붙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사에서 설명드렸던 것과 마찬가지로
단계별로 나누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규칙(1 단계)을 먼저 숙지하시고
그 다음에 예외가 되는 규칙을 하나씩 보시기 바랍니다.
.
1 단계 : 모든 (동사인)단어 뒤에는 + s 가 붙을 수 있습니다.
즉, 주어가 3 인칭 단수일 때 동사의 기본 형태는 동사 + s 라는 것입니다.
ex) love + s, play + s, talk + s . . .
2 단계(예외상황 1) : (동사인) 단어의 끝 철자가 o, s, x, sh, ch 로 끝나면 + s 가 아닌 + es를 해야 합니다.
ex) go + es, kiss + es, fix + es, wash + es, reach + es
3 단계(예외상황 2) : (동사인) 단어의 끝 철자가 자음 + y 로 끝나면 + s 가 아닌 + ies 를 해야합니다.
+ ies 로 변환 될 때 단어 끝에 있는 y 는 i 로 바뀝니다.
ex) cry -> c + r(자음) + y -> cr + i + es -> cries
링크 : 영문법 - 알파벳(자음, 모음)
4 단계(예외상황 3) : 위 단계에서 설명한 규칙에 맞지 않는 (동사인)단어들도 있습니다.
ex)
단수 - is 복수 - are
단수 - can 복수 - could
단수 - has 복수 - have
(be동사, 조동사 는 불규칙형태가 대부분)
'예전 자료 > 영문법 공부 [중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1] 영문법 - 단어의 종류 (동사) (0) | 2014.09.01 |
---|---|
[010] 영문법 - 단어의 종류 (대명사) (4) | 2014.08.30 |
[009] 영문법 - 단어의 종류 (명사 : 명사 뒤에 -s, -es를 붙이는 방법) (0) | 2014.08.29 |
[008] 영문법 - 단어의 종류 (명사) (0) | 2014.08.29 |
[007] 영문법 - 문장과 단어의 관계(단어의 종류) (0) | 2014.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