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및 공부/엑셀실기 강의 [완료]

[033] Excel 계산작업 - COUNT, COUNTBLANK, COUNTA 함수

Page T 2014. 8. 14. 15:10
728x90
반응형



Count, Countblank, Counta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OUNT 함수 : 선택된 인수 중에서 숫자 값이 적힌 셀 개수를 알려줍니다.


COUNTBLANK 함수 : 선택된 범위에서 아무것도 적혀있지 않은 빈 (BLANK) 셀의 개수를 알려줍니다.


COUNTA 함수: 선택된 인수 중에서 BLANK 셀을 제외하고 값(숫자 값, 문자 값 등)이 적힌 셀 개수를 알려줍니다. 


위 사진에서

각각의 박스를 하나의 계산단위로 보겠습니다.

그리고 8행에 각각의 함수식을 작성하여 결과값이 출력되도록 해보겠습니다.







= 으로 함수를 시작하고

함수명 COUNT를 작성한 후 괄호를 열면 

value 라는 인수가 나옵니다.

value number 보다 넓은 의미로서

문자 값, 숫자 값 등의 '값'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Count는 함수명 자체에 숫자만 세겠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즉, =Count(Value1,...)은 Value(=문자 값, 숫자 값, 등) 중 숫자만 뽑아 카운트하겠다는 함수식이 됩니다.


COUNTBLANK 함수에서는 인수로 range가 나오는데

range는 지정된 셀의 범위 그 자체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Countblank는 지정된 셀의 범위 그 자체(=range)에서 blank 즉, 비어있는 셀세겠다(count)는 의미를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즉, =Countblank(range)는 지정된 범위(range) 중 빈 셀만 뽑아 카운트하겠다는 함수식이 됩니다.


Counta 함수는 Count함수와 인수가 같습니다.

Counta 에서 a는 all을 뜻한다고 보면 됩니다.

즉, Counta는 Value인수의 모든(all) 값을 세겠다(Count)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Value인수에서 Blank는 값으로 들어오지 않으므로

=Counta(Value1...)는 Blank(빈 셀)를 제외한 모든 값을 카운트하겠다는 함수식이 됩니다.


Count함수(빨간 박스 부분)부터 범위를 지정하고

괄호를 닫아보겠습니다.







괄호를 닫고 엔터를 누르면

Count 함수를 사용한 A8셀에는 2라는 결과 값이 나옵니다.

숫자가 들어있는 셀의 개수가 2개 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함수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자신의 함수식에 맞게 결과값이 나왔습니다.

빨간 박스는 함수식이고

파란 박스는 결과값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