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몸매가 예술.
예술이란
보기 좋은 것.
감각을 자극시키는 것.
현대는 자본주의 사회.
그렇다면
자본주의 하에서
돈은
예술의 극치.
그러므로
예술가는
돈을 많이 벌 수 있어야 함.
물론.
돈을 벌지 않아도 예술가일 수는 있음.
하지만.
기본적으로
마음만 먹으면
돈을 왕창 벌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예술가임.
예) 허생은 완벽한 예술가의 정석.
허생은 이미 내세잡기에 통달한 사람.
내세잡기에 통달한 후,
집에서 10년 독서를 하며
예술의 도를 극한까지 끌어올리려 하였으나
아내의 등쌀에 필드로 진출.
[아내: 당신은 평생 과거시험을 보지 않으니 글을 읽어 무엇합니까?]
[허생: 나는 아직 독서를 익숙히 하지 못하였소]
[아내: 그러면 장인바치 일이라도 못 하시나요?]
[허생: 장인바치 일은 본래 배우지 않았는 걸 어떻게 하겠소?]
[아내: 그럼 장사는 못 하시나요?]
[허생: 장사는 밑천이 없는 걸 어떻게 하겠소?]
[아내: 밤낮으로 글을 읽더니 기껏 '어떻게 하겠소' 소리만 배웠단 말씀이오?
장인바치 일도 못 한다, 장사도 못 한다, 도둑질이라도 못 하시나요?]
[허생: 아깝다. 내가 당초 글읽기로 십 년을 기약했는데, 이제 칠 년인걸......]
하고 허생은 집 문 밖으로 휙 나가서
무수한 돈을 벌어 옴.
이런 허생의 모습은
이상적인 예술가의 모습.
원래 예술은 부자가 하는 것.
돈 많으면 지루.
돈으로 할 거 다 해보고
아 시발 암것도 재미 없다.
인생이란 무엇일까
인생무상
천상천하유아독존
블라블라하며
사문철에 심취.
하는 게
예술가 입문의 정식 루트.
돈에서 해방되어
예술적으로 살기 가능.
길거리 노숙자 생활도
예술적으로 보이게 됨.(ex 석가모니)
그렇다면 돈 없는 사람들은 예술가가 될 수 없는가?
물론 돈 없는 사람들도
예술을 향유할 수 있음.
하지만, 멜론 음악 듣기
박물관 가기
뮤지컬 보기 영화 보기
야동 보기는
매우 낮은 수준의 예술활동.
그렇다면 낮지 않은 수준의 예술활동은 무엇인가?
노동하기(특히 막노동),
운동하기,
공부하기,
등이
낮지 않은 수준의 예술활동인 것으로 판단됨.
또한
자살시도,
자해시도,
정신병원 감금,
정신분열 등이 있다면
예술 잠재력에 + 점수 가능.
하지만 예술에 지속성이 없으며
창작자 자신의 요절 가능성 높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 점수.
궁극적으로는 '극복'의 경험이 필요.
돈이 없는데
최상위 예술가로 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되는가?
1. 개고통받는다.
2. 극복한다.
3. 깨닫는다.
4. 돈을 번다.
5. 예술가가 된다.
주식시장의 예
1. 개깡통 참.
2. 극복.
3. 주식의 정수 깨달음.
4. 돈을 벎.
5. 예술가가 됨.
자본주의의 정수
주식시장.
주식을
잘 하는 사람은
예술가.
예술의 미를 꿰뚫고 있는 사람.
부럽다.
'일상생활 > 잡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달대행 해보고 싶다 (0) | 2019.10.03 |
---|---|
차였다 (0) | 2019.10.02 |
아무 것도 하지 않더라도 5~6시간만 자기 (0) | 2019.09.25 |
정신과 치료 시 주의사항 (0) | 2019.09.23 |
아...음... (0) | 2019.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