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소득(=수동소득 Passive Income)/증권투자

KODEX 차이나H (IRP 계좌용 ETF 분석)

Page T 2022. 5. 19. 02:04
728x90
반응형

미리 알아두어야 할 지식

1. 중국거래소는 크게 상해거래소, 선전거래소, 홍콩증권거래소로 나뉜다.

2.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들은 해당 회사가 어떤 자본으로 설립되었느냐,

어디에 위치하고 있느냐에 따라

카테고리가 분류된다.

ex1) 홍콩 H주: 중국 자본으로 세워짐. 중국 내 매출 비중이 50% 이상임. 회사도 중국 본토에 있음. 

그런데, 상장만 홍콩거래소에 되어있음.

-> 공상은행 등

ex2) 홍콩 Red-Chip주: 중국 국유 자본으로 세워진 회사임(국유자본이 30%이상 들어가 있음)

중국 내 매출 비중이 50% 이상임. 단, 본사가 중국 본토가 아닌 다른 나라에 있음.

-> 차이나모바일 등

ex3) 홍콩 P-Chip주: 민영 자본으로 세워진 회사임. 중국 내 매출 비중이 50% 이상임.

본사가 중국 본토가 아닌 다른 나라에 있음.

-> 텐센트, 헝다 등


KODEX 차이나H삼성자산운용(=KODEX)에서 운용하는 중국 ETF다.

상장일은 2007년 10월 10일로 거의 15년 째 운용되고 있다.

차이나H는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기업 50개를 선별하여 포트폴리오에 집어넣는다.

선별기준은 시가총액과 거래량이다

 

2022년 5월 기준,

차이나H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있는 상위 5개 기업들을 살펴보자면

 

1. MEITUAN DIANPING

-> 메이투안: 중국판 배달의 민족이다.

중국에서 서비스 수수료를 낮출 것을 메이투안같은 배달앱 기업에 강요하는 중이다.

중국 정부가 먹는 것 관련해서는 여기나 저기나 꽤 까다롭게 구는 것 같다. (ex. 먹방통제)

결론적으로 현재 상황은 좋지 않은 듯하다.

 

2. CCB(CHINA CONSTRUCTION BANK)

-> 중국건설은행: 중국 4대 은행(중국공상은행, 중국은행, 중국농업은행, 중국건설은행) 중 하나이다.

4대은행 모두 부실채권 비율이 늘고있어 위험하다는 기사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단은 꾸준히 건재한 겉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근데 뭔가 미래가 기대되거나 하지는 않는 것 같다는 개인적인 의견이다.

 

3. Alibaba group holding ltd

-> 알리바바 그룹 홀딩스: 중국의 대표적인 기술주다. 텐센트의 라이벌이다.

하지만 시진핑의 견제때문인지 20년 가을, 최고점 약 265.00HKD(1HKD=161.5원, 220519기준)을 찍은 후

꾸준히 우하향중이다. 현재는 최고점대비 약 65% 하락한 모습이다.

 

4. TENCENT HOLD

-> 텐센트 홀딩스: 중국의 대표적인 기술주다. 알리바바의 라이벌이다.

IT업계, 게임 업계의 큰손이다. 다른 해외 IT기업의 지분을 상당량 보유하고 있다.

ex) 라이엇게임즈, 슈퍼셀, 유비소프트, 에픽게임즈, 크레프톤, 넷마블, 카카오 등등

QQ메신저와 위챗을 소유하고 있다.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사업을 하는 중이다.

 

5. ICBC(INDUST&COMM BANK OF CHINA

->중국공상은행: 중국 4대은행 중 하나다. 중국건설은행과 비슷한 의견.

 

개인적으로 포트폴리오 TOP5 중에서

텐센트 말고는 별로 매력이 없어보인다.

게다가, KODEX 차이나H ETF는 분배금 지급(배당금)이 없다.

거래량도 많은 편이 아니다. (거래량 없으면 호가차이때문에 매매하기가 불편)

거래량이 많은 편은 아님

내 결론: 매수 안 하기로 함.

 

자세한 상품정보: http://www.kodex.com/product_view.do?fId=2ETF12 

 

KODEX

코덱스 공식홈페이지, 증권사 리포트모음, 대한민국 ETF 시장의 선도자, KODEX는 국내 시장을 뛰어넘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ETF 운용사를 지향합니다.

www.kodex.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