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포스팅에서 폼은 건물이라고 이야기 했고
건물은 다양한 자재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했습니다.
그 다양한 자재들을 살펴보겠습니다.
개발도구의 디자인모드를 클릭한 후
엑셀 시트에 있는 수강인원등록 버튼을 더블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비쥬얼베이직 화면이 나오는데 화면이 나오면
왼쪽 목록에서 수강인원등록화면이라는 부분을 더블클릭합시다.
파란 박스와 같이 수강인원등록화면 폼이 나타날 것입니다.
이 폼은 다양한 자재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였는데
다양한 자재들은 주황색 박스로 표시해 둔 곳입니다.
이 주황색 박스들은 개별적으로 프로시저 명령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각 자재들을 더블클릭 하면 각 자재들에게 구체적인 명령을 내릴 수 있게됩니다.
위 주황박스 중에서 취소 버튼을 더블클릭 해봅시다.
취소 버튼을 더블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프로시저 시작에서 다루었던 내용을 생각해봅시다.
'Cmb취소'와 'Click'이 파랑 박스로 묶여있는데
전 포스팅에서 이 곳은 상황을 설정하는 곳이라고 했습니다.
'Cmb취소'는 위에서 보았던 취소 버튼의 실제 이름이고 'Click'은 말 그대로 '클릭'이 됩니다.
즉 ['Cmb취소' 버튼이 'Click' 되었을 때]의 상황이 설정되어있는 것입니다.
상황이 설정된 후
해당 상황(취소 버튼을 클릭 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엑셀은 어떻게 반응해야하는지
구체적인 명령을 내려야 한다고 했고
그 명령은 빨간 박스 사이에 적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빨간 박스 사이에 이미 unload me라고 적혀있는데
이 부분은 출제자가 삭제해놓지 않았기 때문에 그대로 코드가 적혀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도 종종 삭제가 되는 부분이므로 기억해두면 좋습니다.
unload me 명령을 잠시 구경해봅시다.
load는 게임에서 save, load 할 때 loa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반대를 의미하는 un이라는 접두사가 load 앞에 붙어서
unload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는 것, 즉 종료하는 것'을 뜻으로 가지게 됩니다.
unload me에서 me는 폼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시 정리하면 위 사진은
'Cmb취소 버튼이 클릭 되었을 때 폼(me)을 종료하라(unload)는 명령'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꼭 취소버튼에만 unload me 명령을 써야만 하는가?
일반적으로 명령은 어느 곳에서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빨간 박스를 보면 자재들의 목록이 나와있는데,
저 목록에 적힌 이름들은 폼(파란박스)에 디자인된 각종 버튼, 메모박스, 목록박스의 실제 이름입니다.
실제 이름은 출제자나 폼 작성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부분이므로 폼마다 다릅니다.
우리는 상황 설정을 하게될 때
위 빨간 박스에 나타나는 자재들의 목록 중 적절한 목록을 이용하여야 하며
상황설정이 잘못되었을 경우 엉뚱한 결과가 나올 수 있으니 주의하도록 합니다.
예를들어 빨간 박스에서 Cmd등록 목록을 선택하고
거기에 unload me 명령을 내리게 된다면
파란 박스에서는 취소버튼이 아닌 등록버튼을 누를 때 폼이 종료되게 됩니다.
적절하게 상황설정만 할 수 있다면
프로시저 작업은 그렇게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강의 및 공부 > 엑셀실기 강의 [완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7] Excel 기타작업 - 프로시저 작업 기초 Initialize에서 명령하기 (With, Additem 명령) (10) | 2014.08.20 |
---|---|
[106] Excel 기타작업 - 프로시저 작업 기초 Initialize 설정하기 (6) | 2014.08.20 |
[104] Excel 기타작업 - 프로시저 명령 기초 (show 명령) (2) | 2014.08.16 |
[103] Excel 기타작업 - 프로시저 시작 (16) | 2014.08.16 |
[102] Excel 기타작업 - 프로시저 개념 (10) | 201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