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시사의견

동북공정, 한글공정, 김치공정 - 김치공정

Page T 2012. 1. 27. 17:31
728x90
반응형

동북공정, 한글공정에 이은 중국의 공정시리즈 3탄

김치공정은 중국이 김치를 자신의 것이라고 우기고 있는 상황을
'동북공정'이나 '한글공정'에 빗대어 나타내는 말이다.

2011년 3월 중국 쓰촨성 청두 지역에서
"파오차이(절인 채소)"를 판매하는 업체 40여 곳이 합심하여
"청두파오차이협회"를 발족하였다.

이들은 파오차이의 세계화를 촉진시키킬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방법은 
이미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는 김치와
파오차이를 엮어버리는 것이다.






이들은

1500년 전 쓰촨성에서 만들어진 파오차이가
한국으로 넘어가 김치가 되었다고 주장을 하면서
파오차이를 김치의 조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파오차이의 가장 큰 특징을
옹기(항아리)에 담아서 발효시키는 것이라고 소개했는데
이는 김치식 발효법과 똑같은 방식이자 그 시초라며
정당성을 내새우고 있다. 

또한
김치와 김장독을 모두
중국의 모방작이라고 설명,
김치의 위신을 깎아내리면서
상대적으로 파오차이의 가치를 높이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사진은 중국 쓰촨성의 위치





하지만 이 파오차이라는 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단지 식초와 술에 채소를 하루정도 절이는 것이 전부인 것으로써

갖은 양념으로 소를 만들어 버무린 후 상당기간 발효시키는 김치와는
그 과정 자체가 다르다.

또한 파오차이는 살균처리를 하는 음식이기 때문에
유산균이 풍부한 김치와 비교가 되는것은 불가능하다.

*사진은 옹기에 담긴 파오차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