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및 공부/엑셀실기 강의 [완료]

[079] Excel 계산작업 - 사용자 정의 함수 이용해보기

Page T 2014. 8. 15. 18:10
728x90
반응형



사용자 정의 함수는

자신이 직접 원하는 함수를 만드는 기능입니다.


Excel 계산작업 5 문제 중 1 문제가 사용자 정의 함수를 사용하는 문제인데

항상 나오는 문제인데다가 배점 6 점으로 적지않은 점수가 배정되어있기 때문에

절대 놓쳐서는 안됩니다.

 

 

사용자 정의 함수는

개발 도구 탭의 비주얼 베이직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엑셀 리본메뉴에 개발 도구 탭이 없다면

설치가 잘못되었거나

맨 처음에 설명드렸던 엑셀 컴활 1급용 세팅이 잘못된 것이므로

설치나 세팅을 새로 하셔야 합니다.



 

 

 

 

비주얼 베이직 창이 열리면

삽입 메뉴의 모듈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함수를 만들기 위한 코드를 작성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합니다.


코드는 Public Function End Function 사이에 작성되어야 합니다.

'Public Function'과 'End Function'은

'코드 작성 시작'과 '코드 작성 끝'을 뜻한다고 생각합시다.

 

위 사진에서 Public Function End Function 사이에 작성된 코드의 의미는

Public Function

사용자가 어떤 값(능력치)에대한

인수(체력, 마력, 장비점수, 숙련도)를 입력해주면

 

그 값(능력치)과 인수와의 관계는 

(능력치 = 체력 + 마력 + 장비점수 + 숙련도)로 정의하겠다

End Fuction

라는 의미입니다.

 

입력 후 저장버튼을 누르고

비주얼 베이직을 종료합니다.

 

 

 

 

 

 

내가 만든 사용자 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능력치를 구하여보겠습니다.


수식표시줄의 fx 버튼을 누릅니다.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범주 선택에서 사용자정의 항목을 선택하면

함수 선택 창에 내가 만든 함수 목록이 뜹니다.

만든 함수를 클릭한 후

확인을 누릅니다.

 

 

 

 

 

 

함수의 인수 값을 입력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인수를 입력하면

비주얼 베이직에서 설정 해 놓았던 함수식이 적용되어

결과 값으로 모든 인수의 값이 더해집니다.

 

 

 

 

 

 

결과가 출력된 모습입니다.

 

 

 

 

 

 

자동 채우기를 한 모습입니다.

 

 

 

이번에는 승급여부 항목을 채워보겠습니다.

전체 평균(혹은 능력치/4)이 250 이상이면 승급 "달성"

아니면 승급 "미달성" 이라는 표시가 나타나도록 할 것입니다.

 

 

비주얼 베이직으로 들어가서 위와 같이 코딩해줍니다.

 

위 코드의 의미는

'승급여부'는 '능력치'라는 인수로 결정이 될 것인데 [Public Function 승급여부(능력치)]

'능력치'를 4로 나누어서 250 이상이라면 [If (능력치)/4>=250 Then]

'승급여부'에 '달성'이라는 표시를 하고 [승급여부 = "달성"]

아니라면 [Else]

'승급여부'에 '미달성'이라는 표시를 해라 [승급여부 = "미달성"]

코드 마침 [End If, End Function]

이라는 의미입니다.

 

저장을 하고 나와 실제로 사용을 해 보겠습니다.

 

 

 

 

 

 

수식 입력줄의 fx를 선택하고

범주 선택에서 사용자 정 항목을 선택하면

함수가 새롭게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선택한 후

 

 

 

 

 

 

인수를 설정하면

작성한 함수식에 맞춰서 인수를 처리한

결과 값이 보입니다.

확인을 누르면

 

 

 

 

 

 

결과 값이 출력됩니다.

 

 

 

 

 

 

자동 채우기된 모습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