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삼성증권 계좌를 개설한다
현재 삼성증권은 비대면 계좌 개설 이벤트 중이다.
온라인으로 증권계좌 개설을 하면 국내 주식 매매시 수수료 우대를 받을 수 있다. (오프라인은 안 됨)
비대면으로 계좌 개설을 하게 되면 국내 주식 매매 수수료율이 0.0036396%인데
해당 수수료율이 유관기관제비용(한국거래소 수수료 + 예탁결제원 수수료)을 포함한 수수료율이라면
증권사 자체의 수수료율은 0%라고 볼 수 있다.
작년(2019)에 증권사들이 유관기관제비용은 고려하지 않고
'수수료 무료'라는 광고를 해서 논란이 되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2020년에 해당 광고를 유관기관제비용을 포함한 수수료율로 수정한 것이라면
아마 증권사 자체의 수수료율은 0%일 것이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계좌 개설 전, 증권사에 전화하여
"유관기용제비용 포함해서 0.0036396%인가요?" 물어보도록 하자. (삼성증권 전화번호: 1588-2323)
그리고 삼성증권 온라인 매매 프로그램(HTS, MTS)도 설치해두자.
2. 삼성증권 계좌로 돈을 송금한다
비대면 계좌를 만들었다면
본인의 계좌에서 삼성증권 계좌로
원하는 만큼의 금액을 송금하자.
3. 송금한 금액을 환전한다
삼성증권 HTS에 들어가서 화면번호 3411을 입력하자.
아니면
메뉴에서 해외주식 -> 환전 -> 환전을 찾아들어가자
4. 해외주식을 주문한다
해외주식매매를 위한 화면번호는 3421이다
아니면
메뉴에서 해외주식 -> 해외주문/잔고 -> 해외주식주문을 선택하면 된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있다.
돈을 내지 않으면 미국 주식 시세를 실시간으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 (15분 지연 시세)
돈을 내지 않으면
실시간으로 가격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지금 내가 얼마에 해당 주식을 살 수 있는지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야후 파이낸스(링크)로 들어가면 된다.
야후 파이낸스로 들어가서 검색바에
종목명이나 티커를 입력하면 실시간 시세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 '티커' = '종목코드'라고 보면 된다.
미국에서는 종목코드를 '티커'라고 부르며
'티커'는 영어약자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은 숫자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종목코드는 005930이며, Amazon의 티커는 AMZN이다
이 실시간 시세에 맞춰서
주문을 넣으면 된다.
*참고: 야후 파이낸스 실시간 시세 특징 -> 양봉은 초록색으로 음봉은 빨간색으로 나온다. (국내와 다름)
'지속적소득(=수동소득 Passive Income) > 증권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증권에서 달러 매도할 때 환율우대 받는 방법 (0) | 2020.07.04 |
---|---|
미국 주식 첫 배당금을 받았다! (0) | 2020.06.22 |
미국 주식 매매 시 발생하는 부대비용 정리 및 최대한 할인받는 방법 정리(삼성증권 기준) (4) | 2020.06.22 |
PER란 무엇인가? (0) | 2020.05.30 |
내가 첫 투자한 미국 주식 종목, VNQI (0) | 2020.05.08 |